1C8001 스포츠의학 연구법 (Research in Sports Medicine) [3] |
---|
스포츠의학 내 연구 이론 및 방법 적용한다. |
1C8002 운동상해평가 (Evaluation of Sports Injuries) [3] |
운동상해들의 기전을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하여, 이에 대해 이학적 검사방법을 통해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1C8003 근력과 컨디셔닝 원리 (Principles of Strength and Conditioning) [3] |
과학적인 근력운동 및 컨디셔닝 최적화를 위한 학문적 지식을 습득한다. |
1C8004 운동생리학 (Exercise Physiology) [3] |
전반적인 인체의 생리학적 특성을 통한 인체기능의 스포츠의학적 이해 및 평가 방법을 습득한다. |
1C8005 스포츠의학 통계법 (Statistics in Sports Medicine) [3] |
스포츠의학 연구 수행을 위한 최신 통계기법을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습득한다. |
1C8006 스포츠영상의학의 이해 (Understanding of Sports Radiology) [3] |
스포츠관련 근골격상해의 영상판독의 물리적 원리이해. 여러 가지 영상판독법을 사용하여 각 스포츠상해를 판독하고 이해. 임상적 치료계획, 진단, 그리고 재활과정과의 연관성 적용한다. |
1C8007 정형외과적 수술이해와 일반질병 (Understanding of Orthopaedic Surgery and General Medicine) [3] |
스포츠의학 관련 근골격상해에 대한 수술 이론 및 이해 그리고 수술방법에 따른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 이해. 스포츠의학 관련 일반질병의 이론과 평가 방법 이해한다. |
1C8008 기초신경과학 (Basic Neuroscience) [3] |
신경과학 기초이론 습득을 통해 치료효과 증대 및 이해한다. |
1C8009 현장실습 (Practical Experience) [3] |
교과과정으로부터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한다. |
1C8010 운동상해재활 (Applied Rehabilitation of Sports Injuries) [3] |
각 상해의 특성을 이해하고 스포츠의학 관련 재활테크닉의 이론 및 실습을 적용한다. |
1C8011 근거중심의 스포츠의학 기초 (Basic Evidence-Based Sports Medicine) [3] |
선행연구를 통한 스포츠의학 관련 예방, 진단, 치료, 평가법을 습득하여 근거중심의 임상 효과에 대한 리뷰논문을 작성한다. |
1C8012 응용운동영양학 (Applied Sports Nutrition) [3] |
운동능력 관련 영양상태, 영양섭취분석, 에너지대사에 대하여 습득한다: 1) 만성질병 관련, 2) 운동 전후 및 운동 중, 3) 건강 및 운동능력을 위한 영양보충제. |
1C8013 움직임 검사와 교정운동 (Movement Screening and Corrective Exercise) [3] |
선수들의 기본적인 움직임 패턴을 정확하게 관찰하여 부상예방과 스포츠상해 상태에 따른 위험요소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정운동법 이론 및 실습을 적용한다. |
1C8014 근력과 컨디셔닝 프로그램 디자인 (Strength and Conditioning Program Design) [3] |
유·무산소성 운동능력은 물론 다양한 운동능력을 총체적인 주기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논문연구
1C8801 석사논문연구 (Thesis Research for the master’s degree) [2] |
---|